벌에 쏘였을 때 응급 처치 증상 어느 병원 가면 되나 총정리 |
길어진 폭염의 여파로 말벌 개체군이 급증하면서 벌 쏘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소방청의 구조활동 통계자료에 따르면, 벌 쏘임 사고는 여름철인 7월부터 급증하기 시작해 8월과 9월에 전체 사고의 57.8%가 몰리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야외활동과 가정 내에서 벌 쏘임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시기임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만약 벌에 쏘였을때 응급처치는 어떻게 하고 어느 병원에 가야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벌 쏘임 사고의 증가와 원인
벌 쏘임 사고가 늘어나는 주요 원인은 길어진 폭염입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의 통계 자료를 보면, 벌 쏘임 사고는 주로 7월부터 시작해 8월과 9월에 집중됩니다. 이는 벌들이 더 활동적이 되는 시기와 맞물리기 때문입니다. 특히, 올해 7월까지의 벌 쏘임 사고 중 37.3%가 집에서 발생했으며, 바다, 강, 산, 논밭 등 야외에서는 24.8%의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벌들은 어두운 계통의 옷과 향수, 향이 진한 화장품에 더 큰 공격성을 보입니다. 따라서 야외활동 시에는 흰색 계열의 옷과 챙이 넓은 모자를 착용하고, 향수나 향이 진한 화장품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벌집과 접촉했을 때는 머리 부위를 감싸고 신속하게 20m 이상 떨어진 곳으로 피해야 합니다.
벌에 쏘였을 때 응급 처치
벌에 쏘였을 때는 핀셋이나 손으로 눌러 짜내려고 하면 독이 더 주입될 수 있으므로 신용카드와 같은 편평하고 단단한 것을 이용해 1분 이내에 긁어서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소적인 증상인 부종과 통증에는 얼음찜질이나 소염제가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전신적인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인근 병원 응급실을 찾아야 합니다. 벌독 알레르기로 인한 과민성 쇼크가 발생할 경우 속이 메스껍고 울렁거림, 구토와 설사, 호흡곤란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지체 없이 119에 신고 후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벌 쏘임 예방법
벌 쏘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생활 습관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째, 야외활동 시에는 밝은 색의 옷을 입고 향이 진한 화장품을 피해야 합니다.
둘째, 벌집을 발견하면 가까이 가지 않고 전문가에게 의뢰해 제거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셋째, 벌이 있는 환경에서는 음료수 캔을 벌들이 들어갈 수 없도록 뚜껑을 덮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벌에 쏘였을 때 핀셋으로 벌침을 제거해도 되나요?
A: 아니요, 핀셋으로 벌침을 제거하면 독이 더 주입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와 같은 편평한 도구로 긁어내는 것이 좋습니다.
Q: 벌에 쏘였을 때 얼음찜질이 도움이 되나요?
A: 네, 국소적인 부종과 통증에는 얼음찜질이 도움이 됩니다. 얼음주머니를 사용해 쏘인 부위를 찜질하면 통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Q: 벌독 알레르기가 있을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A: 벌독 알레르기로 과민성 쇼크가 발생하면 즉시 119에 신고하고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속이 메스껍고 울렁거림, 구토와 설사,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Q: 벌에 쏘이지 않기 위해 어떤 옷을 입어야 하나요?
A: 벌은 어두운 계통의 옷에 더 큰 공격성을 보입니다. 따라서 야외활동 시에는 흰색 계열의 옷을 입고, 챙이 넓은 모자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벌 쏘임 사고가 급증하는 지금, 각별한 주의와 예방 조치가 필요합니다. 야외활동을 즐기는 동시에 안전을 지키는 방법을 숙지하여 벌 쏘임 사고를 미리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